티스토리 뷰

IT 정보보안/JAVA

2018.6.4

SsOoLl 2018. 6. 4. 15:25

가변인자

 

가변인자란 쉽게 얘기해서 전달할 값이 몇개이던 처리를 할수 있다는 것을 말하며

매개변수의 개수를 '동적'으로 지정한다.

그림1

그림1은 main()메서드안에 출력 할 매개변수들을 입력하였다.

일단 add변수를 보게되면 원래 매개변수를 2개만 지정해두었지만 전에 배웠던 오버로딩을 이용하면 가능해진다.

그리고 addEx라는 변수는 오늘 얘기 할 가변인자를 이용하게 될것인데 addEx를 호출 시 전달한는 값이 얼마가 되던 다 처리가 될것이다.

또한 가변인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으로 가변인자를 사용하는 메서드인 printf )를 이용할 것이다.

그림2

그림2는 가변인자를 사용하는 코드이다.

가변인자는 " ... " 이라는 부호가 붙으면 가변인자이며 가변인자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이용한다.

즉 nums는 배열처럼 사용한다는 것이다.

그리고 for문과 배열에서 이용하는 length등을 이용하여 배열의 모든 요소의 합을 구하는 코드를 짜보았다.

그림3

그림3은 오버로딩을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더 늘려주었다.

만약 숫자를 임의로 더 늘리고 싶어 5 ~ 10 ~ 100개의 오버로딩을 하게 되면 매우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이때 가변인자를 많이 사용한다.

그림4

그림4는 그림1 ~ 그림3 까지의 출력문과 코드들을 이용하여 출력한 값들이다.

 

'IT 정보보안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8.6.12  (1) 2018.06.12
2018.6.5  (0) 2018.06.05
2018.5.31  (0) 2018.05.31
2018.5.30  (0) 2018.05.30
2018.5.29  (0) 2018.05.29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