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IT 정보보안/Linux

2018.6.7

SsOoLl 2018. 6. 7. 17:42

FTP서버 구축 및 운영

 

FTP(File Transfer Protocol)

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며 대량/대용량 파일전송이 특화되어 있다.

TCP방식으로 동작하며 21,20번 포트를 사용한다.

21번 포트는 접속 및 명령어를 절단하는 것이고

20번 포트는 데이터 전송을 할때 쓰여진다

그것 말고도 FTP 동작방식은 Actice(능동)모드와 Passive(수동)모드가 있고 동작방식은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 결정한다.

 

VSFTP(Very Secure FTP)

GNU GPL 라이센스 관리하에 배포되는 FTP 서버용 프로그램

보안기능이나 성능이 매우 뛰어나 대부분의 배포퐌에 기본으로 채택되어 사용된다.

 

그림1

그림1은 FTP서버를 구축하기 전 방화벽을 내리는 작업이다.

그림2

그림2는 VSFTP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명령어이고 그 밑 명령어는 설정 값을 변경 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.

그림3

그림3은 FTP용 계정을 생성하는 옵션인데 계정 생성과 동시에 비밀번호도 같이 지정해두었다.

그림4

그림4의 경우 순서대로 FTP 계정의 홈디렉터리로 들어가는 것이고

그림에서 보면 ~ 에서 FTP로 이동된 것을 알 수있다.

그리고 mkdir을 이용하여 공유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chmod 777을 이용하여 권한을 변경하고 공유파일을 생성하였다

그림5

그림5는 모든 설정을 마무리하고 서비스를 시작하기 위해 입력하는 명령어이다.

'IT 정보보안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018.6.19  (0) 2018.06.19
2018.6.18  (0) 2018.06.18
2018.6.6  (0) 2018.06.06
2018.5.7  (0) 2018.05.07
2018.4.25  (0) 2018.04.25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TAG
more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