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조건문
if문
//if문 if (true 또는 false가 나올 수 있는 조건){}
let a = 10;
if (a > 0) { //함수랑 비슷하게 시작하나 { }안에 함수는 매개변수,if는 조건이 들어간다.
console.log("a가 더큽니다");
}
console.log("============");
//b의 길이가 5보다 크거나 같으면 console.log로 출력
//문자열을 길이로 출력하기 위해선 length 기억
let b = "hello gag";
if (b.length >= 5) {
console.log(b.length);
}
if - else문
//if - else문
let c = 10;
if (c > 0) {
//메인로직 true이면 여기서 수행
console.log("c는 양수");
} else {
console.log("c는 음수");
// 메인로직2 false 일 경우 여기서 수행
}
if- else if - else 문
//if- else if - else 문
let d = 10;
if(d<0){
//첫번째 조건이 맞을 시 메인로직1 실행
console.log("1");
} else if(d>=0 && d<10) {
//첫번째 조건이 아닐시 메인로직2 실행
console.log("2");
} else{
//둘 다 조건이 안될 시 메인로직3 실행
console.log("3");
}
switch : 변수의 값에 따라, 여러 개의 경우(case)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switch
switch에는 default가 붙는다.
let cname = "소망";
switch(cname) {
case "소윤":
console.log("소윤입니다");
break; // 케이스가 끝날때 break문 무조건 작성, 그래야 중괄호르 빠져나옴
case "소망":
console.log("소망입니다");
break;
case "소현":
console.log("소현입니다");
break;
default: //아무것도 아닐수도 있으니 집어넣는다
console.log("그 누구도 아닙니다");
break;
}
스위치문은 break가 끝에 필수 !! 없을시 출력이 안됨 !!
if문의 시작은 함수랑 비슷하나 { }에 함수는 매개변수, if문은 조건문이 다르다 !